티스토리 뷰

목차



    음악교육철학은 음악 교육의 본질적인 의미는 무엇이고 음악 교육에 관련된 철학적 기반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는 학문입니다. 음악은 인간의 본성의 하나이며 이러한 음악적 경험들이 인간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은 음악의 역사 속에서 다양하게 조명되어 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음악 교육의 철학적 의미와 음악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철학자들이 말하는 음악에 대해서 탐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음악교육의철학적의미와음악교육의필요성
    음악 교육의 철학적 의미와 음악 교육의 필요성

     

    음악교육의 철학의 의미

    플라톤-음악은 현상세계와 우주의 움직임 속에 내재하는 규칙적 질서와 조화를 이데아의 형태로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을 내포한 음악을 경험함으로써 이상적이고 합리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고 역설하였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음악은 여가와 휴식을 제공하며 성격형성에 기여하며 심성계발에 도움을 준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에토스론-음악적 경험을 사회가 필요로 하는 도덕적 합리적 인간이 되도록 하는 교육적 매개물로 보고 인간사회의 윤리적 면에서 음악교육이 커다란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전인적 성장-전인적 성장은 학생들이 모든 분야에서 적절하게 성장함으로써 균형 잡힌 인간으로 성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음악은 인간의 의지, 성격, 행동 형성과 인간의 윤리적 가치 함양에 교육적 영향을 미치며, 전인적 발달의 인간교육에 기여합니다.

     

    인식체계의 확장과 창의성 개발을 위한 음악교육

    음악은 고유한 인식체계로 간주되며 창의적 활동의 생산물로써 현대교육의 중요한 대상입니다.
    현대에 들어 음악적 사고과정은 감정과 직관 및 상상력 등의 감성적인 영역과 기억과 판단 및 추론 등의 인지적 영역이 통합되는 고유한 성격으로 재인식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과목(Curriculum subject)으로 오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음악의 구성요소들이 인간의 정신과 성격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인식하여 음악을 통한 인식과정을 도덕적 경험으로 범주화하였습니다.
    피타고라스 – 음악이론에서 비례, 조화, 질서를 중요하게 여기고 음악을 이론화하였습니다.
    음악은 질서와 조화를 담은 수학적 범주로 이해되었으며, 대수학, 천문학, 기하학과 더불어 중세의 4과에 포함되었습니다.

    가드너-인간의 뇌에 내재된 고유한 지능으로서 ‘음악적 지능’을 제시하였다. 음악적 지능은 음악적 경험을 통해서 심화되고 체계화될 수 있는 능력이며, 이는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능력으로 교육을 통해 계발될 수 있습니다.
    아이즈너-다중문해력을 강조한 아이즈너는 ‘음악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라는 의미를 인간의 생각과 느낌이 융합되어 동시에 나타나는 사고형태로 보았습니다.

     

     

     

     

    창의성의 계발-체계적인 음악교육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심미적 질과 창의적 속성을 지닌 음악작품을 탐구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음악성과 창의성이 발달할 수 있습니다. 사고와 감성이 통합된 음악적 사고형태는 예술적 의미 추구를 위한 인간 유기체의 의식을 지속적으로 생성시키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특징을 지닙니다.

    음악교육철학은 교사에게 다음과 같은 영향을 줍니다.
    교사의 삶에 있어 자신의 일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이를 통해 삶의 기쁨을 얻게 하며 신념을 심어줍니다. 올바른 음악교육철학은 어떠한 결정의 근원이 되며 안내자적 역할을 하며, 추구하는 것에 대한 포괄적, 체계적 이해는 행동 지침이 됩니다.
    교사는 그들이 하는 일에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목적과 견해를 변경하게 될 때는 교사가 목적을 바꾸는 이유와 시기를 인식해야 합니다. 위대한 철학적 사고의 도움을 받아 가르침에 대한 근본 주제를 더 잘 이해함으로써 음악교육의 체계성이 확립됩니다.

     

    사회적 소통과 인간 생활에 기여하는 음악교육

    음악이라는 것은 교육적인 측면에서 볼 때 무엇보다 사회적 소통과 인간 생활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음악은 개인, 사회, 문화의 이상적 가치와 메시지를 전달하고 표현하는 상징적 역할을 합니다. 집단 내의 합의된 의식과 제례 의식 등 생활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이 지향하고자 하는 가치를 직접적, 간접적으로 전달하고 지시합니다. 칸트의 음악은 인간의 정서에 작용하여 심성을 부드럽게 하며 사회 속에서 협동하는 존재로 성장하고 살아가도록 도움을 줍니다.

    음악은 문화유산으로서 음악교육은 각 민족이 쌓아온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창조적으로 이어나가는 것을 뜻 합니다.
    미래의 음악적인 사회의 훌륭한 구성원을 키우는 것이 학교교육의 중요한 의미입니다.
    유산의 계승은 음악가들만의 역할이 아니라 그들의 음악을 자기 삶 속에서 중요한 것으로 여기는 사람들의 역사입니다.
    음악교육철학은 교사에게 다음과 같은 영향을 줍니다.
    교사의 삶에 있어 자신의 일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이를 통해 삶의 기쁨을 얻게 하며 신념을 심어줍니다. 올바른 음악교육철학은 어떠한 결정의 근원이 되며 안내자적 역할을 하며, 추구하는 것에 대한 포괄적, 체계적 이해는 행동 지침이 됩니다.
    교사는 그들이 하는 일에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목적과 견해를 변경하게 될 때는 교사가 목적을 바꾸는 이유와 시기를 인식해야 합니다. 위대한 철학적 사고의 도움을 받아 가르침에 대한 근본 주제를 더 잘 이해함으로써 음악교육의 체계성이 확립됩니다.

     

    음악교육의철학적의미와음악교육의필요성
    음악교육의철학적의미와음악교육의필요성

     

    음의 성질과 진동 그리고 종류

    음악교육에 있어 음의 성질과 음의 진동, 그리고 음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음은 음원으로부터 물체가 진동하여 공기의 파장이 사람의 고막에 전달되어 음으로써 지각하게 됩니다. 따라서 음은 귀에 전달되어 지각되기 이전 단계인 ‘물리적 진동’으로서의 성격과 음이 고막에 전달되어 음으로써 파악되는 ‘지각되는 음’의 두 가지 성격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전자는 주로 음향학에서 다루고, 후자는 주로 음악지각인지 심리학에서 학문적으로 다룹니다. 이 두 가지 성격을 각각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음과 주관적으로 느끼는 음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은 물체나 악기, 성대, 전기 등에 의한 공기의 진동을 통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진동은 음파(sound wave)가 되어 공기를 통해 귀에 전달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현이 튕겨졌을 때 이 현은 상하 운동을 하며 이 운동의 한 주기를 ‘1 진동’이라 하고, 1초 동안 이 진동이 몇 회 일어나는지를 ‘진동수’ 혹은 ‘주파수’라고 합니다. 또한 상하운동의 폭을 ‘진폭’이라 하며, 이들은 배음에 따라 다른 모양의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를 ‘파형’이라고 합니다. 음이 진동할 때 나타나는 주파수, 진동 폭, 파형 등에 따라 음의 성질이 달라집니다.

    그 파형이 배음의 유무에 따라 순음(pure tone)과 복합음(complex tone)으로 구별되며 복합음은 다시 진동이 주기적인 것과 비주기적인 것에 따라 고른음(musical tone)과 시끄런 음(noise)으로 분류됩니다.

    순음-배음을 포함하지 않는 단순한 진동소리 오실레이터를 통해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으나 보통 악기에서는 나지 않는다.

     

     

     


    복합음-배음을 포함하는 소리,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음은 복합음
    고른음-음이 규칙적이고 주기적인 진동에 의해 생기는 음
    시끄런 음-불규칙적인 진동에 의해 생기는 음, 타악기와 같이 높이나 진동수를 명확히 알 수 없는 악기 소리
    배음(overtones, harmonics)-음이 진동할 때 각 음의 기본 주파수에 대해 정수배에 해당하는 진동수가 같이 진동하는데, 이를 ‘배음’이라고 합니다.

     

    반응형